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부동산경매전략
- 강제집행 절차
- 유찰 공매 입찰 팁
- 경매 권리분석
- 주의해야 하는 공매 물건
- 유치권
- 공매 물건 조심
- 공매물건 필터
- 경매 입찰전략
- 유치권걸린 공매 파악
- 공매 초보 입찰전략
- 오피스텔 경매
- 온비드 고수 전략
- 초보자를 위한 공매꿀팁
- 점유불명 물건
- 경락잔금대출
- 무허가건물 낙찰
- 부동산경매
- 낙찰 후 골치아픈 물건
- 지분공매 해야 하나?
- 경매 초보 가이드
- 공매 낙찰가율
- 실전공매 낙찰팁
- 등기부등본 보는법
- 소액경매
- 자진명도가 답이다
- 캠코 공매 타이밍
- 가압류
- 공매 입찰 타이밍
- 공매는 깨끗하다가 더 중요
Archives
- Today
- Total
경매·공매, 숨은 보석을 찾아서
🔍 2-3. 부동산 경매에 자주 나오는 허위 임차인 사례 & 구별법 본문
반응형
부동산 경매에서 낙찰 후 명도를 진행하려는 순간, “임차인이 존재한다”는 사실을 알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? 문제는, 이 임차인이 ‘허위 임차인’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초보 경매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당하는 허위 임차인 사기 유형과 구별 방법을 실제 사례 중심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.
📌 허위 임차인이란?
허위 임차인은 실제로 거주하지 않거나,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없는 조건의 사람을 일부러 경매 물건에 입주자로 위장시켜 배당을 받거나 점유를 주장하는 사람을 말합니다.
- ⚠️ 명도 지연을 유도하여 금전 보상 요구
- ⚠️ 보증금을 배당받기 위해 임차인을 위장
- ⚠️ 낙찰자를 협상 대상으로 삼아 돈을 받아냄
🚨 자주 나오는 허위 임차인 유형 3가지
1️⃣ 가족/지인 명의로 위장 전입
소유자의 친척, 배우자, 자녀 등 가족 명의로 임대차 계약서를 작성한 뒤 전입신고 + 확정일자를 받아 마치 정당한 임차인처럼 위장하는 방식입니다.
2️⃣ 계약서만 있고 실제 거주 안 함
등기부등본상 확정일자와 전입기록이 있으나, 실제로 거주한 흔적(가재도구, 생활 흔적 등)이 없는 경우입니다.
3️⃣ 소액보증금 허위 임차인
채권액보다 낮은 보증금(예: 500만 원)으로 전입만 해두고 명도를 지연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‘가짜 세입자’입니다.
📄 주민등록초본 + 임대차계약서로 판별하는 법
허위 임차인을 판별하려면 다음 2가지 서류를 반드시 확보해야 합니다.
1️⃣ 주민등록초본
- 🔍 전입일자 확인
- 🔍 거주지 변경 이력 확인
- ✅ 낙찰일 기준으로 계속 거주했는지 체크
2️⃣ 임대차계약서
- 📝 계약서 상 임대인 = 소유자와 일치하는지 확인
- 💰 보증금 금액 비정상적이지 않은지 체크
- 📅 계약일자, 확정일자 유무 확인
🧠 유료 컨설팅 없이도 허위 임차인 구별 가능한 실전 방법
별도 컨설팅 없이도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면 허위 임차인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.
- 1️⃣ 법원 경매정보에서 임차인 현황 확인서 열람
- 2️⃣ 해당 임차인의 주민등록초본 발급 요청 (세입자 본인 동의 필요)
- 3️⃣ 소유자와의 관계 파악 (가족, 지인 여부)
- 4️⃣ 현장 조사: 실제 생활 흔적(신발, 가구, 전기 사용량) 확인
- 5️⃣ 임대차계약서 원본 확인: 위조 여부 확인
📌 주의: 배당요구를 하지 않은 임차인이라도 대항력이 있는 경우 명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📍 실전 사례: 허위 임차인으로 손해 본 사례
경기도 고양시 ○○빌라 낙찰 사례: - 전입된 임차인이 ‘소유자의 배우자’로 확인 - 임대차계약서에 보증금 1천만 원 기재 - 전입일자는 3개월 전, 확정일자 없음 ▶️ 실거주 흔적 없음 → 명도 협상 중 이사비 300만 원 요구
📉 낙찰자는 허위 임차인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협상 비용을 지불함
✅ 정리: 허위 임차인 구별 체크리스트
- 📅 전입일자 = 낙찰일 이전 + 계속 거주 여부?
- 📜 계약서 = 실제 임대차 계약인가?
- 👥 임대인과 임차인의 관계는?
- 🏠 실제 거주 흔적이 있는가?
- 🧾 배당요구를 했는가?
반응형
'[Lv2] 초보 딱지 떼기! 경매 심화 가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🏘️ 2-6. 경매로 소액 아파트 투자 vs 오피스텔 투자, 어디가 유리할까? (4) | 2025.03.28 |
---|---|
🏠 2-5. 대항력과 우선변제권, 쉽게 이해하는 방법 & 사례 (4) | 2025.03.27 |
🔍 2-4.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는 부동산 권리분석 노하우 (0) | 2025.03.26 |
💰 2-2. 낙찰 후 잔금이 없을 때? 경락잔금대출 없이 해결하는 3가지 방법 (0) | 2025.03.24 |
📜 2-1. 등기부등본에서 유치권, 가압류, 가등기 완벽하게 읽는 법 (2) | 2025.03.23 |